
내과 센터
Internal Medicine Center

소화기 내과
Gastroenterology
소화기내과는 식도,위, 장, 간, 췌장, 담낭 등의 소화기 장기에 발생하는 질환에 대한 진단과 치료를 담당합니다.
소화기 질환은 질환의 종류에 따라 간단한 약물처방 부터 수술에 이르기까지 치료 방향이 다양합니다. 질환 증상은 대부분 식욕부진과 구토, 무기력, 복통 등의 증상을 보입니다.
소화기계 질환은 정확한 감별 진단이 매우 중요합니다. 혈액검사 및 호르몬검사를 통한 내과 검사 외에도 흉/복부 방사선, 초음파, 이를 토대로 추가 상/하부 조영검사, 직장 조영검사, CT 검사 등을 통해 보다 정확한 진단이 가능합니다.
소화기내과에서 담당하는 질환
초기 증상부터 중증 질환까지
주요 진료 대상 질환

췌장염
췌장은 인슐린과 소화 효소를 분비하는 장기입니다. 췌장염의 주증상은 식욕부진, 구토 증상 입니다. 고지방 식이, 간식 과다급여, 비만 등은 췌장염을 발생시키는 주요 소인으로 지적됩니다.
췌장염이 악화되면 위 , 십이지장, 대장으로도 염증이 확산되어 간손상 신부전, 저혈압, 패혈증, DIC 로 악화될 수 있습니다.
췌장염은 한 번 발병하게 되면 지속적인 관리(식이조절, 영양제의 적절한 급여, 췌장효소제)와 정기검진이 반드시 필요한 질병입니다.

담낭점액종
담낭내 뮤신(mucin)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되어 팽창또는 파열되기 직전의 상태를 말합니다.
담낭점액상피세포의 점액 과분비, 담즙 정체, 고지혈증,쿠싱병, 비만 등이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식욕부진, 구토, 무기력, 복통 등의 증상이 관찰되며, 초음파 상에 키위를 잘라낸 단면 이미지는 담낭점액종의 대표적인 소견입니다.
대부분 담낭절제수술 대상이며, 간보호제, 항생제 처방을 통해 증상의 악화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염증성 장질환 (IBD)
염증성 장질환이란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세균 및 기생충 감염, 식이 소인들에 대해 비정상적으로 면역 체계가 반응하는 질환을 말합니다.
만성 설사, 혈변, 구토, 식욕부진 등이 지속되면 체중이 감소하며, 저단백혈증으로 인한 복수가 형성되기도 합니다.
염증성 장질환은 원인 감별 진단과 면역억제치료 및 지속적인 식이관리를 통해 치료가 가능합니다.

내시경(이물제거)
반려견은 개껌, 뼈, 플라스틱 장난감 등을 삼켜서 흉부 식도, 위, 장관 내 폐색을 유발합니다. 구토, 불안, 통증 등의 증상을 호소합니다.
고양이의 경우 실이나 긴 끈 같은 이물을 삼키게 되면 소장이 꼬이며 폐쇅과 파열을 유발하는 응급 상황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X-ray, 초음파 검사를 통해 진단이 이루어지기도 하지만, CT검사가 이물의 정확한 크기와 폐색의 상태를 진단하는 데 가장 유용합니다.

장폐색
장폐색은 이물, 종양, 꼬임 등의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합니다. 장이 완전히 막히면 심한 복통과 장이 괴사하고 천공이나 장파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장폐색 부위와 원인이 진단되었다면, 대부분 개복수술로 폐색의 원인을 해소합니다.
만약 폐색된 부위가 괴사가 진행되었다면 장의 일부분을 잘라내고 다시 이어주는 장문합 수술을 하게 됩니다.

복강종양
복강종양은 간세포암, 비장혈관육종. 림프종, 췌장암과 같은 복강 내 장기에서 발병하는 종양을 말합니다.
악성 종양이 많으며 악성종양은 일단 발병하면 기대수명이 1년 이상을 기대하기는 어렵습니다.
초음파검사가 복강 종양의 조기 진단엔느 매우 유용합니다. CT와 조직세침 검사를 통해 확진이 가능합니다.
![박순석동물메디컬-로고-[변환됨].png](https://static.wixstatic.com/media/f56617_1d163f98ff8946aa9a2aff7f6fb07b86~mv2.png/v1/crop/x_0,y_57,w_1000,h_514/fill/w_172,h_88,al_c,q_85,usm_0.66_1.00_0.01,enc_avif,quality_auto/%EB%B0%95%EC%88%9C%EC%84%9D%EB%8F%99%EB%AC%BC%EB%A9%94%EB%94%94%EC%BB%AC-%EB%A1%9C%EA%B3%A0-%5B%EB%B3%80%ED%99%98%EB%90%A8%5D.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