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KakaoTalk_Photo_2025-10-27-16-01-18_edited.jpg

​심장 센터

Cardiology Center

Information

PAMC 심장센터는 반려동물의 심장과 혈관 건강을 전문적으로 진단하고 치료하는 곳입니다. 20년 경력의 심장 전문의가 대학병원급 최신 심장초음파 진단 장비를 통해 심장병을 조기에 발견하고, 환자 맞춤형 약물 처방 가정 관리법을 알려드립니다. 노령 반려동물부터 선천성 심장병을 가진 아이들 까지, 소중한 가족의 생명 연장과 건강한 삶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KakaoTalk_Photo_2025-10-27-16-07-38_edited.jpg

심장병의 진단

심장병은 다양한 검사를 통해 종합적으로 진단됩니다.

  • 청진: 심잡음, 부정맥, 호흡음을 확인하여 기본적인 이상 유무를 평가합니다.

  • 심전도 검사(ECG): 심장의 전기 신호를 분석하여 부정맥의 종류와 심각성을 파악합니다.

  • 혈액 검사: 심장 기능과 관련된 지표를 확인하고 전신 상태를 평가합니다.

  • 흉부 방사선 검사(X-ray): 심장의 크기, 폐 및 기도의 상태를 살펴 심장 이상 여부를 확인합니다.

  • 심장초음파 검사(Echocardiography): 판막 질환, 심근 상태, 혈류 역학적 이상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최종적으로 심장질환의 종류와 정도를 진단합니다.

KakaoTalk_Photo_2025-10-27-15-59-53.jpeg

심장병의 치료 및 관리

심부전으로 인해 폐부종이나 실신이 발생하는 경우는 응급 상황에 해당합니다. 이때는 우선적으로 산소 공급과 이뇨제 투여를 통해 호흡 곤란을 완화하고, 환자의 호흡 상태를 면밀히 모니터링합니다. 호흡이 안정되면 심장병의 원인과 진행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정밀 검사를 진행하며, 필요 시 강심제, 혈압 조절제, 이뇨제 등의 약물을 병용하여 치료합니다.

 

치료를 통해 환자의 호흡이 안정되고, 울혈성(congestive) 증상이 호전되면 퇴원 후 가정에서의 관리 방법을 보호자와 상의합니다. 또한, 복수는 주로 우심 질환에서 잘 나타나는 증상으로, 이 경우 복수를 적절히 제거한 뒤 심장 약물을 병행하여 치료를 진행합니다.

KakaoTalk_Photo_2025-10-27-15-58-11.jpeg

심장질환의 장기적인 관리

심부전 증상이 호전되더라도, 질환의 악화를 방지하기 위해 심장 약물을 평생 복용해야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조기에 발견된 심장질환에서도 마찬가지로, 증상 진행을 억제하기 위해 약물 복용이 권장될 수 있습니다.

치료 경과 확인을 위해 2~3개월 간격으로 흉부 방사선 검사를 시행하여 심비대 여부를 평가하고, 6개월~1년 간격으로 심전도, 혈액 검사, 심장초음파를 포함한 정밀 검진이 필요합니다.

 

특히 이뇨제 사용 시 신장 기능 저하가 동반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관리 지침에 따라 약을 사용하고 정기적으로 신장 수치 검사를 시행해야 합니다.

Siemens Somatom Emotion

​초음파

대학병원급 고사양 심장초음파 도입.  20년 경력의 심장병 진단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대학병원급 고사양 심장초음파 도입.  20년 경력의 심장병 진단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대학병원급 고사양 심장초음파 도입.  20년 경력의 심장병 진단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

초음파.png

심장초음파클리닉

대학병원급 고사양 심장초음파 도입.  20년 경력의 심장병 진단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

​초기 증상부터 중증 질환까지

주요 진료 대상 질환

박수진_깽이_US_20250208_1615_20250927163811_4.jpg

비대성 심근병증(HCM)

HCM은 고양이에서 다발하는 질환으로 심장의 근육이 두꺼워져 심장이 제대로 이완하지 못하여, 혈액을 심장 밖으로 충분히 박출시키지는 못하는 질환입니다. 페부종과 흉수를 유발합니다.

백강희_도담_US_20250714_0946_20250927163916_11.jpg

점액종성 이첨판 질환(MMVD)

MMVD는 소형견에서 다발하는 심장병으로 좌심에 위치한 이첨판의 점액변성(퇴행성)으로 인해 이첨판의 기능 장애가 발생하여 혈액이 역류하는 질환입니다. 좌심비대와 폐부종을 유발합니다.

백강희_도��담_US_20250714_0947_20250927163916_13.jpg

폐성 고혈압

(PH, Pulmonary Hypertension)

폐성 고혈압은 폐혈관의 저항(압력)이 증가하여 폐동맥압이 비정상적으로 상승하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우심부전, 호흡곤란, 피로, 실신 등의 증상을 유발합니다

김명희_하늘_DX_20240617_1518_20250927164221_1.jpg

심부전(CHF)

심부전은 퇴행성 판막 질환, 선천성 심장병, 심근 질환, 폐성 고혈압 등에 의해 결과적으로 심장기능이 현저히 나빠진 상태를 의미합니다. 심비대, 폐부종, 복수, 실신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생명 유지가 매우 심각한 상태임을 의미합니다.

장서율_칼리샤_OT_20250930_1118_20250930115903_1.jpg

부정맥

심전도(ECG)를 이용하여 심장의 박동이 정상적인 리듬을 벗어난 유형과 패턴을 분석하여 부정맥을 진단합니다. 방실블록(AV block) 등의 부정맥은 운동불내성, 실신, 급사 등의 위험성을 가집니다.

이채송_땡이_US_20250728_1243_20250927164419_22.jpg

선천성 심장질환

반려견의 선천성 심장질환으로는 동맥관개존증(PDA), 폐동맥협착(PS) , 대동맥협착증(SAS)이 전체의 75% 정도를 차지합니다. 고양이의 선천성 심장질환으로는 심실중격결손(VSD)이 가장 흔합니다. 선천성 심장질환은 출생 직후 부터 존재하지만 증상이 늦게 나타나기도 합니다. 건강 검진을 통해 조기 진단이 가능하며 특히 동맥관개존증(PDA)은 수술적인 시술을 통해 확연히 건강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

이런 증상이 있다면 꼭 진료를 받아보세요

작은 변화도 심장질환의 중요한 신호일 수 있습니다. 특히 노령 반려동물이라면 미묘한 증상도 놓치지 마세요.

01

​​기침이 잦아요

밤이나 활동 후에 기침이 심해진다면, 심장병 악화를 의심해야 합니다.

😷

03

쉽게 지쳐요

가벼운 산책에도 금방 지친다면 심장이 충분히 기능하지 못하는 신호일 수 있습니다.

🐕

02

숨을 헐떡여요

쉬는 중에도 호흡이 빠르고 불안정하다면 즉시 진료가 필요합니다.

😮‍💨

04

​밥을 잘 안 먹어요

식욕이 줄고 기력이 없다면 단순한 노화가 아니라 심장질환의 초기일 수 있습니다.

🍽️

오시는 길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로 72 (1호선 대명역 3번출구)
고객 주차장 30대 확보 (B1F)

​진료시간

365일 연중무휴

오전 진료 시간

점심 브레이크 타임

오후 진료 시간

저녁 브레이크 타임

​야간 응급 진료

09:30 – 12:00

09:30 – 12:00

14:00 – 19:00

19:00 – 20:00

20:00 – 익일 09:00

* 브레이크 타임이란?  근로기준법에 근거하여 의료 근로자의 휴식을 보장하고, 원활한 진료가 이루어지기 위한 멸균 소독 등의 정비가 이루어지는 시간입니다.

상담 및 예약 문의

053-657-0959

박순석동물병원.png

상호 박순석동물메디컬센터​          주소 대구 남구 대명로 72          전화번호 053-657-0959          사업자등록번호 357-40-00862          대표자 박순석

© 2025 by PAMC. All Rights Reserved.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