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심장 센터
Cardiology Center
Information
PAMC 심장센터는 반려동물의 심장과 혈관 건강을 전문적으로 진단하고 치료하는 곳입니다. 20년 경력의 심장 전문의가 대학병원급 최신 심장초음파 진단 장비를 통해 심장병을 조기에 발견하고, 환자 맞춤형 약물 처방과 가정 관리법을 알려드립니다. 노령 반려동물부터 선천성 심장병을 가진 아이들 까지, 소중한 가족의 생명 연장과 건강한 삶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심장병의 진단
심장병은 다양한 검사를 통해 종합적으로 진단됩니다.
-
청진: 심잡음, 부정맥, 호흡음을 확인하여 기본적인 이상 유무를 평가합니다.
-
심전도 검사(ECG): 심장의 전기 신호를 분석하여 부정맥의 종류와 심각성을 파악합니다.
-
혈액 검사: 심장 기능과 관련된 지표를 확인하고 전신 상태를 평가합니다.
-
흉부 방사선 검사(X-ray): 심장의 크기, 폐 및 기도의 상태를 살펴 심장 이상 여부를 확인합니다.
-
심장초음파 검사(Echocardiography): 판막 질환, 심근 상태, 혈류 역학적 이상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최종적으로 심장질환의 종류와 정도를 진단합니다.

심장병의 치료 및 관리
심부전으로 인해 폐부종이나 실신이 발생하는 경우는 응급 상황에 해당합니다. 이때는 우선적으로 산소 공급과 이뇨제 투여를 통해 호흡 곤란을 완화하고, 환자의 호흡 상태를 면밀히 모니터링합니다. 호흡이 안정되면 심장병의 원인과 진행 정도를 확인하기 위한 정밀 검사를 진행하며, 필요 시 강심제, 혈압 조절제, 이뇨제 등의 약물을 병용하여 치료합니다.
치료를 통해 환자의 호흡이 안정되고, 울혈성(congestive) 증상이 호전되면 퇴원 후 가정에서의 관리 방법을 보호자와 상의합니다. 또한, 복수는 주로 우심 질환에서 잘 나타나는 증상으로, 이 경우 복수를 적절히 제거한 뒤 심장 약물을 병행하여 치료를 진행합니다.

심장질환의 장기적인 관리
심부전 증상이 호전되더라도, 질환의 악화를 방지하기 위해 심장 약물을 평생 복용해야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조기에 발견된 심장질환에서도 마찬가지로, 증상 진행을 억제하기 위해 약물 복용이 권장될 수 있습니다.
치료 경과 확인을 위해 2~3개월 간격으로 흉부 방사선 검사를 시행하여 심비대 여부를 평가하고, 6개월~1년 간격으로 심전도, 혈액 검사, 심장초음파를 포함한 정밀 검진이 필요합니다.
특히 이뇨제 사용 시 신장 기능 저하가 동반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관리 지침에 따라 약을 사용하고 정기적으로 신장 수치 검사를 시행해야 합니다.
Siemens Somatom Emotion
초음파
대학병원급 고사양 심장초음파 도입. 20년 경력의 심장병 진단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대학병원급 고사양 심장초음파 도입. 20년 경력의 심장병 진단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대학병원급 고사양 심장초음파 도입. 20년 경력의 심장병 진단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

심장초음파클리닉
대학병원급 고사양 심장초음파 도입. 20년 경력의 심장병 진단 전문의의 정확 한 진단
초기 증상부터 중증 질환까지
주요 진료 대상 질환

비대성 심근병증(HCM)
HCM은 고양이에서 다발하는 질환으로 심장의 근육이 두꺼워져 심장이 제대로 이완하지 못하여, 혈액을 심장 밖으로 충분히 박출시키지는 못하는 질환입니다. 페부종과 흉수를 유발합니다.

점액종성 이첨판 질환(MMVD)
MMVD는 소형견에서 다발하는 심장병으로 좌심에 위치한 이첨판의 점액변성(퇴행성)으로 인해 이첨판의 기능 장애가 발생하여 혈액이 역류하는 질환입니다. 좌심비대와 폐부종을 유발합니다.

![박순석동물메디컬-로고-[변환됨].png](https://static.wixstatic.com/media/f56617_1d163f98ff8946aa9a2aff7f6fb07b86~mv2.png/v1/crop/x_0,y_57,w_1000,h_514/fill/w_172,h_88,al_c,q_85,usm_0.66_1.00_0.01,enc_avif,quality_auto/%EB%B0%95%EC%88%9C%EC%84%9D%EB%8F%99%EB%AC%BC%EB%A9%94%EB%94%94%EC%BB%AC-%EB%A1%9C%EA%B3%A0-%5B%EB%B3%80%ED%99%98%EB%90%A8%5D.png)